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게이트코리아

[ AMA ] 게이트아이오, 클레이튼 질문 및 답변 본문

GATEIO 이야기

[ AMA ] 게이트아이오, 클레이튼 질문 및 답변

게이트아이오 2020. 5. 13. 10:10

1. Klaytn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클레이튼은 블록체인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그라운드 X 가 자체 개발한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 각 산업을 대표하는 30 여 개 글로벌 기업들이 플랫폼 운영과 거버넌스 참여를 맡고 , 70 개 이상의 서비스 파트너들이 클레이튼을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블록체인 서비스를 운영해 글로벌 플랫폼의 일평균 거래량과 견줄 만한 사용성을 구현했습니다 . 앞으로 클라우드화를 통해 누구나 블록체인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합니다 . 블록체인 대중화를 이끄는 디지털 자산 관리 서비스 클립 디지털 자산 관리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클립이 카카오톡에 탑재된 서비스로 출시됩니다 . 클립은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디지털 자산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로 , 지금까지 블록체인 업계에서 고질적으로 대두되었던 어렵고 불편한 이용자 경험을 대폭 개선했습니다 . 카카오톡 친구와 함께 즐기는 다양한 블록체인 경험과 다채로운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로 블록체인 대중화를 선도합니다 .

2. 프로젝트를 시작한 계기/배경은 무엇인가요?

작년까지 우리의 목표는 블록체인의 대중화 (Mass Adoption)Mass Adoption)) 였습니다 . 블록체인이 가진 잠재력에 비해 블록체인 기술의 보급이 더뎠습니다 .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 우선 기술의 진입 장벽이 높고 , 두번째로는 사용자 접점이 부족합니다 . 마지막으로는 가치를 증명할 서비스가 부재한 것이 주요한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 세가지 요인은 서로서로 물리면서 닭과 달걀의 문제를 안고 있어 풀기 쉽지 않았습니다 . 그라운드 X 는 작년까지 구축한 클레이튼 환경을 기반으로 세 가지 문제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 2020 년을 블록체인 대중화의 원년으로 만들 것입니다 . 그라운드 X 는 새로운 인터넷 세상의 기반을 만들기 위해 아시아 대표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을 개발하고 , 기업과 서비스 친화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성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소셜 임팩트 추진 , 개발자 커뮤니티 활성화 , 컨퍼런스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3.클레이튼이란 프로젝트가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주요 어떤 사항을 진행하였고,그리고 달성한 것은 무엇일까요?

2019 년 및 2020 년 상반기 Klaytn) 이란 프로젝트를 위해 2019 년 6 월 27 일 메인넷을 출시하였습니다 . PBFT 합의 알고리즘을 운영하고 , 방향성을 함께 결정하는 약 30 여개의 대기업으로 구성된 Governance council 멤버를 구성하였으며 , 약 70 여개의 ISP, KBP 등 Service Partn)er 사들이 Klaytn) 메인넷에 온보딩을 진행 및 진행 중에 있습니다 . Klaytn) Eco system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해 exchan)ge, Wallet, Market 등 다양한 블록체인 파트너사들이 합류하여 서비스를 구축했습니다 . 즉 , 2019 년 6 월 27 일 메인넷 출시 이후 지금까지 , 약 1 년간은 ISP 및 ECO Partn)er 사들과 함께 기본적인 인프라와 에코시스템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 2020 년 6 월 카카오톡에 임베디드되는 klip 서비스 출시 이후에는 , 크립토 유저를 포함한 일반 n)on) 크립터 유저들이 블록체인 클레이튼 및 클레이튼 파트너사들의 서비스를 쉽고 친숙하게 사용하게 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 다시 말해 클레이튼 프로젝트의 진정한 시작이며 , 이를 위한 준비 단계였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네요 .

4. 개발자 네트워크도 탄탄하고 소통도 자주 이루어진다고 하는데요. 개발자네트워크를 중시하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클레이튼은 개발자들과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툴과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 클레이튼 위에서 생성된 토큰들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전송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월렛과 하드웨어 월렛을 지원하고 있으며 , 앞으로 호환 월렛을 더욱 늘려나갈 예정입니다 . 서비스 개발자를 위해 SDK 와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를 제공하고 , 클레이튼의 트랜잭션을 투명하게 볼 수 있는 블록 탐색기 클레이튼 스코프를 제공합니다 .

클레이튼 개발 관련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장으로 클레이튼 포럼이 있으며 , 클레이튼 개발자들과 상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 Klaytn) 플랫폼의 주 개발회사인 Groun)d X 에서는 개발자 및 서비스 개발사분들이 클레이튼 생태계에서 쉽게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 Klaytn Cloud Service (가칭 KAS) 를 2020 년 하반기 부터 제공 및 출시할 예정이 있습니다 .

5.백서에서 “GroundX will create the next Internet for the future generation. We will build a better world.” 라는 문구가 눈에 딱 들어오더라고요:) 이를 위한, 추후의 계획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올해는 그라운드 X 사업이 국내외에 본격적으로 알려지는 원년이 될 것입니다 .

1. 클립(Klip) — Klip) — ) — 디지털 자산 관리 지갑 서비스

클립은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해 주는 개인 디지털 지갑 서비스입니다. 클립은 카카오톡을 통해 손쉽게 접속할 수 있고, 메신저만큼 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개인키 관리를 클립이 대신하면서 블록체인 지식없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레이튼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디지털 자산(Mass Adoption)가상자산과가상아이템 등을 모으고 소비할 수 있으며, 클레이튼 기반의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클립은 메신저를 통해 사용자 접점을 확대하여 블록체인 업계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어 줄 것입니다. 클립은 올해 6 월에 카카오톡과 연동된 웹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처음 출시될 겁니다. 이후 카카오톡과 독립된 모바일앱도 출시하여 웹과 모바일 버전 양쪽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브라우저 확장 지갑인 카이카스(Kaikas)도 상반기에 출시하여 웹 기반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는 글로벌 클립을 출시하면서 해외시장으로 진출할 것입니다. 기존 디지털화된 아이템은 복제될 수 있어 가치를 매기기 어렵지만,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NFT(대체불가능한 토큰) 기능을 적용하면 게임 아이템과 티켓은 물론 개인이 직접 만들어내는 콘텐츠와 데이터 등 모든 종류의 아이템을 토큰화한 뒤 가치를 매길 수 있습니다.

2. Klaytn Cloud Service (Klip) — 가칭 KAS

KAS 는 클레이튼 기반에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허들을 대폭 낮춘 블록체인 API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하기 위해서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래밍을 해야 하고 , 블록체인 플랫폼 환경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 하지만 KAS 를 이용하면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의 어려움을 해소해 쉽게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할수 있습니다 . 궁극적으로 블록체인의 여러 기능을 클라우드 서비스화하여 , 블록체인 기술을 몰라도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는 단계로 진화할 것입니다 . 클립에 kas 가 최초로 적용될 예정입니다 . 클립도 클레이튼을 사용하는 블록체인 서비스로 KAS 가 필요하기 때문에 , 클립을 타깃 서비스로 하여 실용적인 KAS 를구현할 계획입니다 . 또한 , 외부 서비스 파트너와 협력하여 제한적으로 베타 버전을 출시합니다 . 하반기에 정식으로 선보여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입니다 . 동시에 2021 년을 목표로 글로벌 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

3.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Blockchain Applications

그라운드 X 는 블록체인 플랫폼과 지갑과 같은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데 멈추지 않습니다. 넥스트 인터넷을 위한 기반 프로토콜을 추가해 나갈 것입니다. 이것은 그라운드 X 단독으로 할 수 없는 일이며, 그라운드 X 가 모두 할 필요도 없습니다. 클레이튼 생태계의 파트너들과 커뮤니티와 함께 할 때 가능하다고 믿습니다.

6.파트너사가 다양한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혹시 국내 파트너사 몇곳만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Klaytn 의 파트너는 Governance Council, Service Partner, Eco Partner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파트너 카테고리 중 대표적이 파트너사들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Governance Council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은 클레이튼의 기술, 사업 등에 대한 주요 의사 결정과 클레이튼의 합의 노드 운영을 담당합니다. 클레이튼의 GC 는 대부분 국내외 대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플랫폼 운영을 넘어서 클레이튼 기반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 사업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클레이튼 거버너스 카운슬 멤버 중 국내 대표적인 회사로 아시아에서 1st Tier 화장품 기업 아모레퍼시픽이 있습니다. 또한 ‘LG 전자,’ ‘SK S K 네트웍스,’ ‘SK 셀 트리온’ 등의 국내 주요 기업과 함께 필리핀을 대표하는 은행 ‘필리핀

유니온뱅크’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2) Service Partner

클레이튼은 플랫폼입니다. 클레이튼 플랫폼 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 주체는 결국 외부 파트너사들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클레이튼은 세계 최대 IT 하드웨어 회사인 삼성과 협력을 통해 Samsung Klaytn Phone 을 출시하였습니다. 클레이튼 폰의 ‘삼성 블록체인 키스토어’에는 클레이튼 기반 비앱 BApp,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5 개가 탑재되었습니다. 또 클레이튼의 암호화폐 클레이(KLAY) 전용 지갑도 담겼습니다.

스마트폰에 블록체인 기반 앱을 탑재하고, 서비스 이용을 위한 KLAY 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블록체인 서비스를 접할 수 있게 했습니다.

클레이튼 폰에 초기 탑재된 5 개 앱:

▲블록체인 기반 웹툰·웹소설 플랫폼 ‘픽션네트워크(Mass Adoption)Piction) Network)’

▲음식 추천 기능에 블록체인 기술을 입힌 ‘해먹남녀’

▲블록체인 기반 뷰티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 ‘피츠미(Mass Adoption)Fits Me)’

▲패션뷰티 쇼핑앱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우먼스톡’

▲토큰 보상이 있는 비디오 커뮤니티 ‘앙튜브(Mass Adoption)An)tube)’ 등 의 서비스들이 탑재가 되었고,

향후 클레이튼과 삼성의 협력을 통해 더 많은 서비스가 탑재될 예정입니다.

3) Eco Partner

클레이튼은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과의 협력을 통해 더욱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클레이튼은 얼마전 미국 블록체인 금융서비스 전문 기업 셀로(Mass Adoption) Celo)가 주도하는 글로벌 금융 혁신 연합 ‘셀로 얼라이언스 Celo Alliance’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얼라이언스 포프로스퍼리티(Alliance for Prosperity·번영을 위한 협의체) 는 셀로 재단의 비영리 커뮤니티로, 금융 서비스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쉽고 편리한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오픈 암호화폐 시스템 수립을 목표로 합니다. 클레이튼과 셀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두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 상호운용성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더불어, 클레이튼의 클레이와 셀로에서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사용성 확보 등 디지털 자산의 활성화 확대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7.암호화폐 지갑‘클립’의 출시가 멀지 않은것 같은데요. 진행상황은 어떤지, 무엇을 지원하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상반기에 카카오톡과 통합된 웹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클립을 출시해 사용자에게 첫선을 보입니다. 브라우저 확장 지갑인 카이카스 Kaikas 도 함께 출시합니다. 또한, 독립된 모바일 앱도 출시하여 웹과 모바일 버전 양쪽을 모두 지원할 예정입니다. 하반기에는 글로벌 버전을 준비하여 연내 글로벌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Main points:

● 카카오톡 안에서 6 월부터 이용할 수 있는 '클립'은 디지털화된 모든 자산을 토큰처럼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 클레이튼’ 기반 서비스 업체를 통해 쌓게 되는 유틸리티 토큰은 물론 개인이 보유한 게임 아이템과 공연 티켓

등을 재판매할 때도 ‘클립’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디지털화된 아이템은 복제될 수 있어 가치를 매기기 어렵지만,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NFT(Mass Adoption)대체불가능한

토큰) 기능을 적용하면 게임 아이템과 티켓은 물론 개인이 직접 만들어내는 콘텐츠와 데이터 등 모든 종류의

아이템을 토큰화한 뒤 가치를 매길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암호화폐거래소 #gateio #gatekorea #이더리움 #리플 #블록체인 #블록체인뉴스 #이오스 #크립토#암호화폐 #암호화폐경제 #암호화폐뉴스 #암호화폐시세 #비트코인시세 #사물인터넷 #4차산업 #규제샌드박스#블록체인경제 #ETH #Ethereum #이더리움 #블록체인시세 #가상화폐 #IEO #암호화자산거래소 #블록체인주식 #비트코인전망 #비트코인가격 #비트코인거래소순위 #블록체인컨퍼런스 #블록체인기술 #블록체인지갑 #블록체인구조 #게이트아이오 #게이트코리아

#게이트아이오 공식채널 :

<Official Support> 게이트아이오 문의, 커뮤니티

텔레그램방(Telegram) : https://t.me/gateiokr

네이버카페(Naver Cafe) : https://cafe.naver.com/gateiokorea

카카오 오픈채팅방(Kakao) : https://open.kakao.com/o/gm8Ysgub

카카오플러스(Kakao Plus) : http://pf.kakao.com/_xnDmGC

<Official Page>게이트아이오 공지, 정보공유

네이버블로그(Naver Blog) : https://blog.naver.com/gateiokorea

네이버밴드(Naver Band) : https://band.us/band/72807993

티스토리(Tstory) : https://gateiokorea.tistory.com/

스팀잇(Steemit) : https://steemit.com/@gateioexchange

트위터(Twitter) : https://twitter.com/gate_io

페이스북(Facebook) : https://www.facebook.com/OfficialGateio

인스타그램(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gate.io/

<Official Tech> 게이트아이오 기술관련

미디엄(Medium) : https://medium.com/@gateio

깃허브(Github) : https://github.com/gateio

거래소 홈페이지(Homepage): http://gate.i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