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teChain3.0 발표 후 3주가 지났습니다. 게이트아이오는 많은 사용자분들의 테스트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으며, 동시에 Gate.io거래소에서 첫 거버넌스 투표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방안2.1이 87.06%의 높은 득표율로 선정되었습니다. 게이트아이오는 GC를 발행하지 않고 GT를 거래소코인과 메인넷 코인 역할로 동시에 채택하여 팀 생태계 부분에서 3,000만개의 GT를 사용하여 추후 PoS보상으로 지원합니다. PoS채굴에 참여하여 GT 보상을 받으면 향후 10년 동안의 PoS 보상과 비교하여 적지 않으며, 10년 안에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를 하여 생산량 반감 등 방식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더 낮출 수 있습니다. 현재 게이트아이오의 개발 진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1:거래 서명 인증 최적화를 완료하고, 병렬 컴퓨팅 알고리즘을 적용해 스탠드어론(stand alone) 실행형 거래 인증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켰습니다. 2:tx index 정책을 수정하고 배치하여 활성화 또는 종료, 기본 작동 중지 상태로 일반 사용자의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3:새로운 Devnet을 구축하고 중국 대륙과 전 세계 전역에 분포하는 서버 연동 테스트 컨센서스 메커니즘의 다국적 네트워크에서의 안정성을 채택했습니다. 4:Loyalty coefficient 증가 및 정리 메커니즘과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다음 단계에서는 PoS 메커니즘에 이 방안을 포함할 예정입니다. 5:컨센서스 노드 방안을 개선하고,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오프라인 노드를 주기적으로 정리하며, Loyalty coefficient에 대해 정리를 진행합니다. 6:거버넌스 투표 결과에 따라 PoS 보상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적정 인플레이션율이 산정을 통하여 1~2% 사이여야 하며, 참여도에 따라 컨센서스 노드의 보상 연간 수익률은 약 3~4%로 추산됩니다. 7:Devnet에서 빅 블록 한계 상황에서의 합의 문제를 테스트하고, 두 개의 가중치가 근사화된 감속 네트워크의 합의 달성 문제를 처리합니다. 8:tx index을 Gatemint로 이동이 기본적으로 완료 되면, APP과 연계하여 대외적으로 제공하던 인터페이스 형식에 맞게 맞추셔야 합니다. 9:HD 파생 키 기능이 완료되었으며, 아래는 지갑App과 연동되어 있습니다. (수정된 ED25519의 서명 및 검증 방법을 사용할 것이며, Golang 기초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인터그레이션 테스트 작업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예정입니다.) 10:주소 안티퀀텀(Anti quantum)40자리로 변경, HD파생기능과 함께 제출하고 devnet로 가서 추가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11:RewardList는 합의되지 않는 문제를 수정 후 기본 Devnet에서 3일간 테스트(화베이,도쿄,캘리포니아 컨센서스 참여)를 진행했으며, 오류는 하루 5회 이내로 하락했지만 간혹 컨센서스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이기 때문에 최적화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12:ABCI는 병렬 검증 블록에 대한 모든 수정이 완료되었으며, Devnet에서는 최신 코드로 수정하여 지금은 비교적 안정적이게 관측 되고 있습니다. 13:POS 채굴의 파라미터가 제출되었으며 다음주 수정 완료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14:컨센서스 노드가 패키지 거래 수수료 표준을 설정하는 기능이 완성되어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15:브라우저의 모드 스크립트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미 Go로 재작성되었습니다. 16:Testnet V4.0 출시를 준비하며, 위의 모든 완료된 변경사항을 포함하고 GC를 GT로 수정 완료 하였습니다. 17:Gatemint 기본 프레임 코드 라이브러리를 정리하고 오픈소스를 준비합니다. 18:최신 크로스체인 프로토콜과 방안을 플로우하면서 주요자산 후속 크로스 체인을 준비합니다. GateChain Team 2020년05월18일